[TeledyneLeCroy] ‘수동 프로브 보정 ’ 주제의 포스팅 업데이트

  • 2023-04-05
  • 조회수2226
[TeledyneLeCroy] ‘수동 프로브 보정 ’ 주제의 포스팅 업데이트

이 번 포스팅에서는 지난 기사에서 예고해드린대로 수동 프로브 캘리브레이션 절차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수동 프로브는 오실로스코프와 함께 공급되어,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는 프로브입니다. 자주 사용하는 소모품으로 여겨지는 면이 있어서 그런지 상대적으로 프로브의 캘리브레이션은 생략하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지난 기사에서 예로 보여 드린 것처럼 프로브 캘리브레이션을 수행하지 않으면 수십 ~ 수백 us 에서 변하는 신호의 전압 값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사소하고 귀찮을 수 있지만 캘리브레이션 또는 적어도 평탄도 정도는 확인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10X 수동 프로브의 동작
10X 수동 프로브가 어떻게 동작하는 지에 대해서는 10x 패시브 프로브의 비밀 을 읽어 보시면 도움이 되겠습니다.

10X 수동 프로브 캘리브레이션 절차



                                         그림 1. 수동 프로브 캘리브레이션 순서





그림 2. 프로브를 채널 2에 연결한 예. 프로브 보정을 위해 트리머 부분이 윗쪽을 향하도록 연결함.



                              그림 3. 프로브 팁을 CAL 출력에 연결한 모습

트리머 조정과 상태



그림 4. 프로브 부속에 포함된 '-' 또는 '+' 조정기를 이용하여 프로브의 캘 트리머를 조절합니다.



그림 5. undershoot과 overshoot이 발생한 예. 과도하게 보상되었거나 낮게 보상된 경우



      그림 6. 매칭이 적절하게 이루어진 경우, 정확한 사각 펄스가 화면에 보임.

아래는 프로브 캘을 수행할 때 적절하지 않은 경우들 입니다.
1. V/div를 너무 크게 설정하여, 전압축 분해능을 충분히 사용하지 않는 경우 입니다. 1V/div를 200mV/div로 변경이 필요합니다.



2. 타임베이스를 너무 짧게 설정한 경우
    트리머의 조정으로 전압이 변경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타임베이스는 100us/div가 적절합니다.



3. 타임베이스를 너무 길게한 경우
    정확한 에지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너무 긴 타임베이스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캘리브레이션에 대한 지난 포스팅 확인
프로브의 기초 (Part II)
10X 패시브 프로브의 보정